반응형
안녕하세요, 워킹맘 리뷰스토리입니다 😊
2025년 7월 1일부터 출산과 보육 관련 정책이 크게 바뀌는데요!
예비 부모님이나 현재 육아 중인 부모님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정보들을 모아 정리해봤어요.
첫만남 이용권부터 육아휴직까지, 어떤 변화가 있는지 차근차근 살펴볼게요.
1. 첫만남 이용권 300만 원으로 확대
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첫만남 이용권 금액 인상입니다.
- 기존: 200만 원
- 변경: 300만 원 지급
- 사용기간: 12개월 → 24개월로 연장
- 사용처: 유아용품, 산후조리원, 병원, 보육시설 등
첫 아이부터 적용되며, 모바일 바우처나 카드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해요.
2. 육아휴직 급여 얼마 받나? 육아휴직 급여 상한 대폭 인상
이제 육아휴직 급여도 더 넉넉하게 받을 수 있어요.
육아휴직 기간 | 기존 | 변경 후 |
1~3개월차 | 월 최대 150만 원 | 월 최대 250만 원 |
4~6개월차 | 120만 원 내외 | 월 200만 원 |
7개월 이후 | 100~120만 원 | 월 160만 원 |
- 사후지급제도 → 즉시지급 방식으로 개선
- 부모 각각 1.5년씩, 총 3년 사용 가능
- 분할 사용 2회 → 3회로 확대
3. 배우자 출산휴가 며칠 가능? 배우자 출산휴가, 유산휴가도 강화
- 배우자 출산휴가: 10일 → 20일 유급, 분할 사용 3회 가능
- 출산휴가: 미숙아 출산 시 90일 → 100일
- 유산·사산 시 휴가도 5일 → 10일로 확대
아빠들도 마음 편히 육아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점점 마련되고 있어요.
4. 근로시간 단축, 이제 초등학교까지 가능!
- 대상 연령: 만 8세 → 만 12세까지 확대
- 사용 기간: 최대 3년
- 주 10시간 단축 시 정부지원: 월 최대 55만 원
초등학생 학부모도 이제 안심하고 육아시간 확보 가능!
반응형
5. 어린이집·양육수당 지원도 업그레이드
- 가정양육수당: 최대 월 50만 원
- 대상 연령: 36개월 → 48개월로 확대
- 어린이집 보육료: 전 계층 전액 지원
맞벌이 가정, 전업맘 모두에게 희소식이에요!
6. 난임 부부 시술 지원 확대
- 소득 기준 폐지
- 시술 가능 연령: 만 45세까지 확대
- 지원 횟수 증가, 본인부담금 축소
임신을 준비 중인 예비 부모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!
7. 중소기업 대상 지원금 확대
- 출산·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: 월 120만 원
- 동료 분담자에게도 월 20만 원 지원
중소기업도 안심하고 육아휴직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어요.
8. 다자녀 가정 혜택 강화
- 전기·가스 요금 감면 기준: 3자녀 → 2자녀로 확대
- 지자체 별 출산장려금 인상 (예: 셋째 1,000만 원 이상 지급 지역 다수)
2025년 하반기부터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 훨씬 두터워졌어요.
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이 더 이상 개인의 몫만은 아니란 걸, 정책을 통해 조금씩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.
아직 출산 계획 중이시거나, 육아 중이신 분들이라면 놓치지 말고 이 혜택들 꼭 챙겨보세요!
반응형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다음 리뷰도 놓치지 마세요! 😊
리뷰스토리 블로그를 구독하고 꿀템 정보를 받아보세요